보건증 인터넷발급

보건증은 취업, 기숙사, 복지관, 아르바이트 등을 위해서 제출해야하는 서류입니다. 보건소에서 진행하는 건강검진인 보건증의 정식명칭은 건강진달결과서 입니다. 

 

보건증 발급대상

취업, 기숙사제출, 복지관 제출용 등으로 전염성 질환만 검사합니다. 음식점에서 아르바이트를 할 경우에도 필요하겠죠.

 

보건증 유효기간

보건증은 접수일로부터 1년간 유효합니다. 계속해서 보건증이 필요한 업종에 종사하신다면 매년 보건증을 새로 준비하셔야 합니다.

보건증 검사항목

폐결핵, 장티푸스, 성병, 매독, 전염성 피부질환, 세균성이절 등을 검사합니다. 간염검사는 추가하시면 하실 수 있습니다. 폐렴 혹은 결핵을 확인하기 위해 흉부촬영이 있습니다.

 

보건증 검사시간

5분내외로 검사가 끝날 정도로 빠르게 진행됩니다. 보건증 발급은 검사 후 3~4일 이내에 받아볼 수 있습니다.

 

 

보건증 검사비용 발급비용 

보건소에서 진행하시면 기본 검사 비용은 3,000원 입니다. 간염검사도 함께 하시면 5,670원이 추가되어 총 8,670원을 납부하시면 됩니다.

 

보건소가 아닌 보건증 발급 병원에서 검사를 진행하시면 1~2만원 내외의 검사비가 나옵니다. 요즘은 코로나 

 

 

보건증 준비물

본인임을 확인할 수 있는 신분증을 준비하시면 됩니다. 주민등록증, 여권, 운전면허증 하나로 신분증을 준비하세요. 미성년자의 경우에는 학생증과 주민등록등본을 지참하면 됩니다.

▶주민등록등본 인터넷 발급 바로가기

 

보건증 인터넷발급

보건증 검사는 어쩔 수 없이 보건소에 가서해야합니다. 하지만 또 시간들여 보건증을 발급받으러 가긴 번거로우니 이제 인터넷으로 간편하게 발급받아보세요.

보건증

▶G-Health 공공보건포털 바로가기

포털사이트에 '보건증 인터넷 발급'을 검색하면 G-Health 공공보건포털이 나옵니다. 이 사이트를 클릭해주면 보건증 인터넷 발급의 첫 단계가 됩니다.

 

이 곳에서는 보건증발급 뿐만아니라 지역주민의 건강을 위한 여러 보건서비스가 있습니다. 건강증진, 질병관리, 암관리, 구강보건, 정신보건, 가족건강, 한의햑 등 여러 보건서비스가 있으니 살펴보시고 활용해보세요.

 

공공보건포털의 주요 목적은 증명서발급과 검사결과 조회입니다.

 

보건증 인터넷 발급

사이트로 이동하시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온라인 제증명 발급 신청하기'를 눌러주세요. 

 

보건증 인터넷 발급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해 주시구요.

 

 

보안 프로그램 설치가 끝난 후 스크롤을 아래로 내리면 이름과 주민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칸이 나옵니다. 자신의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한후 본인확인 방법을 선택합니다.

 

인증서가 있으신 분들은 인증서를 이용하시고 없으신 분들은 핸드폰 본인확인이 가장 간편합니다.

 

보건증 발급

본인확인을 마치고 나면 마지막 단계에 다다릅니다. 위와 같은 화면이 뜨실텐데요. 여기서 '건강진단결과서 (구 보건증)을 클릭합니다. 

 

보건증 항목을 누르면 하단에 접수일자와, 보건소명, 접수번호, 판정유무가 나타납니다. 그중에서 접수번호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신청통수 및 용도입력 창이 나오는데요. 필요하신 만큼 신청통수를 선택해주시고 용도는 제출용, 접수용, 확인용 중에서 선택하여 신청하기를 눌러주시면 끝납니다. 

 

간혹 영업장에서는 주민번호 뒷자리까지 표기된 보건증을 요구하는 곳도 있으니 주민번호 뒷자리를 표시할건지도 선택하시면 좋습니다.

 

이제 인쇄하기만 누르면 보건증 인터넷발급 완료!